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파트1-챕터3

augusto 2024. 5. 15. 17:01

챕터 3 상품과 시장의 무의식적인 논리

요약: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는 긍정적인 동기와 감정을 불러올수있는지에 달렸다.

아이라이너가 연필보다 몇배나 비싼이유는 성욕모듈을 활성화 했기 때문이다. 배란기 여성은 눈가가 어두어지는데 그때 남성은 여성을 매력적이라 평가함 그래서 아이라이너는 여성을 매력적이게 보일수 있게 함.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영향을 주고싶거나 영향을 받기 위해 상품을 구매함. 소속동기, 지위동기, 개성동기, 성적 매력에 대한 욕구

상품이 구별동기인 개성, 지위, 성적매력을 만족시킨다면 소비자는 그 상품을 구매하는데 많은돈을 씀

뇌를 지루하게 하는 상품, 뇌를 활성화하는 상품, 뇌를 유혹하는 상품

합리성
균형 시스템과 지배 시스템 사이에는 논리, 정확성, 기는성. 효율성, 능력이라는 합리성과 동의어로 쓰이는 개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합리성은 감정 시스템을 기반으로 되어 있다. 합리성은 감정의 대립물이 아니다.

놀이 모듈에서 구매 행위 자체를 즐거움으로 판단한다. 왜냐면 지배시스템으로 인해 다른사람보다 너 나은 사람이 되라며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돈으로 사게 되면 좋아하는 것이다.

상품자체가 높은 감정적 가치를 전달할때 더 비싼 값을 받을 수 있다.

체험적 성격이 강한 상품은 되도록 적은 돈으로 많은 경험을 하는것을 충족시킨다.

지배시스템은 가격 깎는 것을 능력의 척도로 여기는데, 상품 자체가 높은 지위와 독점권을 약속해주는 경우에는 흔쾌히 이런 싸움을 포기한다.

균형 시스템도 절약 행위에서 벗어나라고 꼬드길 때가 있는데, 높은 수준의 안전성, 품질, 신뢰성을 약속하는 상품과 서비스가 제공될 때다.

내 생각: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때 사람들 머릿속에 감정을 자극을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조금 달라 졌다. 이 상품은 왜 잘팔릴까? 어떤 감정을 자극 했을까 하고 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